소상공인

소상공인을 위한 2025년 정부지원 제도 캘린더

bidanriver 2025. 7. 24. 17:52

정부나 지자체에서 수많은 소상공인 지원제도를 운영하고 있지만,
정작 많은 소상공인이 “몰라서 신청 못했다”, “시기를 놓쳤다”는 이유로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특히 매월 다르게 발표되는 공고들은 짧은 접수 기간과 선착순 마감이라는 특성이 있어

 


사전에 캘린더처럼 체크하고 준비하지 않으면 기회를 놓치기 쉽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한 해 동안 소상공인이 꼭 챙겨야 할 주요 정부지원 사업 일정을
월별로 요약 정리
하고, 함께 준비하면 좋은 서류까지 안내합니다.

 

 

2025년 정부지원 제도

 

 

2025년 소상공인 정부지원 캘린더 요약

  월                     주요 정책
1월 부가세 확정신고 / 소상공인 정책자금 접수 시작
2월 창업 아카데미 수강생 모집 / 스마트상점 지원 공고
3월 폐업 재도전 패키지 1차 공고 / 온라인 판로지원 사업
4월 지역 특화 컨설팅 신청 / 전통시장 현대화 사업 공모
5월 종합소득세 신고 / 청년상인 창업 지원 모집
6월 점포 환경 개선사업 공고 / 디지털 전환 지원 접수
7월 폐업예정자 컨설팅 / 하반기 정책자금 2차 접수
8월 배달앱 입점 지원 / 홍보 콘텐츠 제작지원
9월 창업·재도전 통합 공모 / 지역 맞춤 교육 수강생 모집
10월 내일채움공제 / 소상공인 특별금융 지원 접수
11월 정책자금 잔여분 마감 / 연말 정산 준비
12월 사업 마감 보고 / 다음 연도 정책 사전 안내
 

 

 

월별 주요 지원제도 자세히 보기

🔹 1~3월: “연초는 정보보다 속도가 중요하다”

  • 정책자금: 중소기업진흥공단 or 지역신보에서 운영
     → 사업자등록 후 1년 미만도 가능 (초기 창업자 대상)
  • 디지털전환 바우처: POS, 키오스크, 간판 교체 지원
  • 폐업재도전 패키지: 실패 경험 있는 창업자 대상 창업자금 + 교육 제공
  • 필수 준비자료: 사업자등록증, 임대차계약서, 매출증빙, 통장 사본

✅ 연초는 특히 선착순 마감 많음 → 알림설정 필수

 

 

🔹 4~6월: “경쟁력 강화, 점포 개선, 판로 확대의 시기”

  • 점포환경개선 사업: 간판 교체, 인테리어, 전기 등 최대 200만 원 지원
  • 전통시장 입점·디자인 개선 지원
  • 스마트스토어 입점 교육 + 콘텐츠 제작비 지원
  • 청년몰 입점 지원: 39세 이하 소상공인 대상
  • 지원 기준: 매출액 기준, 폐업 이력 확인 등 있음

✅ 미리 ‘점포 사진’, ‘사업 계획서’ 준비해 두면 신청시 유리함

 

 

🔹 7~9월: “하반기 예산 소진 전, 다시 도전할 타이밍”

  • 하반기 정책자금 추가 접수 (2차)
  • 디지털전환/콘텐츠 지원 사업 2차 공고
  • 배달·SNS 콘텐츠 제작비 50~300만 원 지원
  • 창업·재도전 통합 패키지
     → 교육 + 공간 + 홍보 지원 통합 운영

✅ 폐업 경험자, 초보 사장님에게 이 시기가 가장 많은 기회

 

 

🔹 10~12월: “마무리와 다음 해 준비 동시에”

  • 정책자금 잔여 예산 접수
  • 내일채움공제, 희망리턴패키지 마감
  • 연말 정산 대비 간편장부 준비
  • 2026년 지원계획 사전공고 체크 (중기부·소진공 홈페이지)

✅ 신청 가능한 게 줄어드는 만큼
사후 정산, 증빙자료 정비로 마무리 잘하는 것이 핵심

 

자주 묻는 질문 (Q&A)

Q1. 모든 소상공인이 신청할 수 있나요?
A. 아닙니다. 대부분은 사업자등록 후 6개월~1년 이상,
매출액 일정 수준 이하, 중복 지원 불가 조건이 있습니다.

Q2. 사업계획서를 꼭 제출해야 하나요?
A. 금액이 크거나 경쟁이 있는 사업은
자기소개서 + 사업계획서 필수인 경우 많습니다.

Q3. 지역별 정보는 어디서 확인하나요?
A. 각 시·도 소상공인지원센터 홈페이지 + 카카오톡 채널 활용 추천

 

 

정리: 소상공인에게는 ‘달력’이 곧 자금이다

소상공인은 하루하루가 전쟁 같지만,
달력만 잘 챙겨도 수백만 원의 지원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애매한 타이밍에 “언제 또 신청하죠?” 하지 말고,
한 해 캘린더를 미리 정리해서 선제적으로 움직이면
지원금도, 기회도 놓치지 않습니다.

매달 1일, 이 캘린더를 한 번씩 꼭 확인하세요.
그 한 번이 당신의 통장에 수백만 원을 더할 수 있습니다.